매일성경묵상나눔
2019.03.19 10:44

역설의 은혜

조회 수 3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설의 은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큰 자가 되기 위해서 더 높이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것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을 소유할 수 있고, 더 많은 권한과 역할과 힘을 사용할 수 있는 자리에 있을 수 있다. 그것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 중심은 더 낮은 곳으로 가야만 진정한 큰 자로 살아갈 수 있다. 마음 중심이 더 낮은 곳에 있으면, 그 삶의 소유와 위치에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더 낮은 곳으로 들어가 겸손히 섬길 줄 안다. 자신의 유익과 만족을 위해 힘을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알고, 오히려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정직과 성실로 그 권위를 사용할 줄 안다. 주님은 당시 인격적으로 존중받지 못하고 무시 당하고 존재감이 없었던 어린 아이처럼 더 낮아지는 자가 “큰 자”라고 정의를 내렸다. 더 많은 소유와 더 많은 힘을 가지고 더 큰 일을 하고 싶어하는 것에 마음과 눈이 가 있는 제자들을 향해 정말 큰 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어린 아이처럼 살아야 한다고 말씀한다. 어린 아이처럼 더 낮은 곳으로 들어갈 때, 현실에서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아도, 존중은커녕 무시 당해도, 부끄럽고 힘들 때면 주님 품에 숨을지라도 그 마음 중심은 자유하고 당당하고 안정감이 있다. 어린 아이처럼 주님 앞에서, 때로는 주님의 품 안에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과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 수 있다. 적어도 주님 앞에서는 힘들면 힘들다고, 아프면 아프다고 정직하게 고백할 수 있다. 아기를 품에 앉고 위로하는 엄마로 인해 아이는 안정감을 되찾고, 기분 좋아지는 것처럼 주님의 위로와 격려로 인해 곧바로 감정과 에너지를 회복하여 살아갈 수 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주님이 함께 하기 때문에 안정감이 있고, 평화 할 수 있다. 그래서 겸손과 정직으로 더 낮은 곳으로 들어갈 수 있다. 주님이 자신의 권리를 다 내려놓고 십자가에 내어준 것을 본받아 살아간다. 낮아질수록 더 큰 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주님이 그 삶을 보호하고 인도하고 높여주기 때문이다. 그것이 은혜이고, 은혜 안에 있어야 안전하다. 

 

“이르시되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돌이켜 어린 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어린 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사람이 천국에서 큰 자니라” 마 18:3~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645 매일성경묵상나눔 투명함과 친민함의 관계 2019.03.26 25
644 매일성경묵상나눔 주님이 사용하는 큰 자 2019.03.25 27
643 예배 자료 2019년 3월 24일 다음세대 설교 안내 2019.03.22 14
642 매일성경묵상나눔 당신은 착한 사람인가요? 2019.03.22 59
641 예배 자료 2019년 3월 31일 해피오렌지예배 찬양(유년, 초등) file 2019.03.21 38
640 예배 자료 2019년 3월 24일 주일예배 찬양 file 2019.03.21 42
639 예배 자료 2019년 3월 24일 주일예배 설교 안내 2019.03.21 25
638 매일성경묵상나눔 받은 상처가 감사의 제목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2019.03.21 49
637 예배 자료 3월 24일 주일오후 집회 악보_청소년부 인도 file 2019.03.20 99
636 매일성경묵상나눔 나의 부르심 2019.03.20 35
» 매일성경묵상나눔 역설의 은혜 2019.03.19 33
634 예배 자료 2019년 3월 17일 다음세대 설교 안내 2019.03.15 17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62 Next
/ 162
© k2s0o1d8e1s0i1g0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