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묵상나눔
2018.12.19 12:04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로 나아가다

조회 수 3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로 나아가다”

 

팀 체스터, 스티브 티미스의 “일상교회”(Everyday Church)에서 존 피니의 연구 논문, “오늘의 믿음을 찾아서”(Finding Fatith Today)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주었다. “목회자의 가장 중요한 전도 사역은 교회나 설교단이 아니라, 종류가 다른 두 가지 관계 속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비그리스도인들과의 일대일 만남이고, 다른 하나는 신앙을 잃은 사람들, 특히 믿음의 본질을 주제로 말을 걸어 볼 기회가 있는 사람들의 상황이다.”(일상교회, 39). 교회와 교회 주변에만 머물러 있다. 실제로 교회와 교회 주변 밖에 있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지금의 상황은 교회와 예배에 대해 전혀 관심없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 15층 아파트의 한 라인의 30세대 중 기독교 교회의 패를 붙인 집은 1~3집 정도뿐이다. 어떤 경우는 천주교패가 더 눈에 띄기도 한다. 교회와 교회 주변의 사람들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교회와 교회 주변 사람들에게만 전도하고 사랑한다면 그밖의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되겠는가? 교회는 프로그램, 인테리어, 카페와 같은 새로운 시도를 하지만, 그들은 교회가 하는 것들에 전혀 관심이 없다. 그렇다고 교회 예배나 어떤 것들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는 이들을 포기할 순 없다. 교회의 사명 중 하나는 그들에게로 나아가 그들의 필요에 반응하고, 복음을 전하고, 복음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 교회에 우호적인 사람, 교회에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머물러 있을 것이 아니라 그 밖으로 나아가야 한다. 주일예배에 대한 열정과 함께 매일의 일상에서 만나는 이들에게도 복음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나아가야 한다. 물론 서로를 알아가고, 서로의 필요에 반응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어가는 것은 기본이다. 사랑할만한 사람만 사랑할 것이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받아들이는 것이 하나님의 사랑이다. 그 사랑으로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을 받아들이고,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찾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더 깊은 묵상과 함께 몸을 움직여 직접 경험해야 한다.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요일 4:7~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554 매일성경묵상나눔 믿음이 사랑을 지키고, 사랑이 믿음을 강하게 한다 2018.12.21 63
553 매일성경묵상나눔 나 같은 죄인을 살리신 하나님의 사랑으로 2018.12.20 158
» 매일성경묵상나눔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로 나아가다 2018.12.19 39
551 예배 자료 2018년 12월 23일 주일예배 설교 안내 2018.12.18 13
550 매일성경묵상나눔 순종은 사랑이다 2018.12.18 79
549 예배 자료 2018년 12월 16일 다음세대 설교 안내 2018.12.14 13
548 예배 자료 2018년 12월 16일 주일설교 안내 2018.12.14 19
547 매일성경묵상나눔 사랑 이야기 2018.12.14 15
546 매일성경묵상나눔 소망은 살아 있다 2018.12.13 38
545 예배 자료 2018년 12월 16일 주일예배 찬양 file 2018.12.13 38
544 매일성경묵상나눔 온유와 겸손으로 천국을 살아가다 2018.12.12 52
543 매일성경묵상나눔 니체를 넘어서는 성령의 충만한 삶 2018.12.11 68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164 Next
/ 164
© k2s0o1d8e1s0i1g0n. ALL RIGHTS RESERVED.